반응형 전체 글49 채식주의자(2007) - 한강 “채식주의자 ? 좀 피곤하지 않아? ” 그러니까. 이를테면 나에게도 채식주의자란 그런 이미지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언젠가 TV의 뷰티 아이템 소개 프로그램에서 채식주의를 선택한 미스코리아 출신 연예인이 자신의 친동생이 단백질을 소화하지 못하는 병 때문에 자연스럽게 채식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지금은 자신도 채식의 좋은점에 대해 알게 되었다면서 아무리 호박으로 케이크를 굽는 모습을 보여주어도 육식과 채식을 다 하는 내가 보기에 그 케익 위에는 생크림과 버터가 들어가면 정말 맛있겠다. 라는 생각이 먼저 들게 되는 것이다. 채식은 건강을 위한 필수적인 생활습관이라고 채식주의자들은 흔히 주장하기는 하지만 얼마전 그런 주장에 경종을 울렸던 ‘채식주의의 위험’ 에 대한 다큐멘터리에서 보여지듯 , 인간의 몸.. 2023. 1. 13. 이기적 유전자(2) How/ 나에게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 / 실천사항 “인간의 몸은 생존과 번식을 위해 유전자를 운반하는 운반체이며 생존 기계일 뿐이다. 인간이 태초부터 현재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유전자가 이기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우리 개개인의 인간은 누구와도 바꿀 수 없는 고귀한 삶을 선물 받은 특별한 존재가 아닌,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른 여타 생물체들처럼 유전자로 이루어진 하나의 ‘종’ 일 뿐이며 끊임없는 우성, 열성 유전자의 조합을 통해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기적 유전자’를 읽었을 때 인간으로서 나의 주체성과 유전자를 전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단순한 유전자적 생존과정 중 하나로 보게 해 준 아주 흥미로운 기회를 선사했다. 물론 내 스스로가 엄청.. 2023. 1. 11. 이기적 유전자(1) - 리처드 도킨스 리처드 도킨스 저자/홍영남,이상임 역자 을유문화사 출판/2010.08.10 Why? 작가는 왜 이 책을 썼을까? / 저술목적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 세계적인 영국의 행동학자 이자 생물학자는 본인이 일생을 바쳐 연구했던 생명공학에 있어 진화론을 지지하고 기독교의 창조론을 비판, 논증하는 것에 대한 다수의 책을 출간했다. 그의 저서들은 모두 ‘진화론에 대한 심도 있고 다각적인 분석’ 과 ‘창조론에 대한 논리적인 비판’ 이라는 두 가지 맥락에서 이론을 펼치고 있기에 ‘만들어진 신’, ‘이기적 유전자’ ‘확장된 표현형’ 등 일반인이 읽기에도 무리가 없고 진화론과 유전자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을 해볼 수 있게 한다. , , , 그를 대표하는 저서는 꽤 다수이다. 특별히 저서의 내용을 정독하지.. 2023. 1. 10. 생명이란 무엇인가 - 에르빈 슈뢰딩거 ‘What is…?’ 최근 ‘무엇인가?’라는 ‘정의’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책을 자주 보게 된다. ‘정의란 무엇인가?’ 혹은 이 책의 제목 ‘생명이란 무엇인가?’처럼 말이다. 주로 이런 질문을 던지는 책은 이론적, 논리적으로 설명이 충분히 가능했거나 사람들이 당연히 안다고 생각했던 절대적인 진실에 질문을 던져준다. 그리고 읽는 이로 하여금 ‘내가 지금껏 알고 있었던 개념이 진실이 맞았나?’라는 자아 성찰적 생각하게 만들곤 한다. 도덕과 법, 상식과 감성, ‘생명’처럼 절대불변의 고귀한 진리라고 생각했던 것에 대해 과연 내가 믿고 있었던 가치의 본질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던져보는 것, 지금 세대가 가장 관심을 가지는 것은 그런 원론적인 것이었나? 라는 생각도 간혹 책을 읽다 보면 들게 되는 것이다. 세.. 2023. 1. 9.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 반응형